목록2021 Web Development Bootcamp (6)
Taking baby-developer steps
app.get("/", function(req, res){ const url = "https://api.openweathermap.org/data/2.5/weather?q=London&appid=abaf6b7affaaf80dc46cf5afd8ac3545"; https.get(url, function(response){ console.log(response); response.on("data", function(data){ const weatherData = JSON.parse(data); const temp = weatherData.main.temp; console.log(temp); }); }); res.send("Server is up and running"); }); app.get 과 https.g..

키워드 : Start tag(=opening tag), End tag(=closing tag), Content, Self-closing tag, HTML element, HTML attribute, 코멘트 10분 정리 : HTML 파일은 괄호 사이에 태그 네임을 넣는 방식으로 작성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content(내용물)을 앞 뒤로 start tag 와 end tag가 감싸고 있다. 이전에 소개한 개발 학습에 도움 되는 사이트에서도 HTML의 태그를 다음과 같은 분류로 나눠 놓은것을 볼 수 있다. https://devdocs.io/html/attributes#accept-attribute 이 주소를 참고 해도 좋다. +코멘트는 브라우저에게 무시하라고 표시하고 작성하는 멘트이다. 대부분 스스로의..

키워드 : 브라우저의 목적, HTML = 웹사이트의 뼈대, , headings, , 개발 학습시 검색 키워드 추천 10분 정리 : 어떤 브라우저든, 목적은 단 하나이다. HTML, CSS, JS 파일을 웹사이트 화면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HTML은 웹사이트의 뼈대(foundation)이다. CSS나 JS만으로 만들어진 웹페이지는 없으나, HTML만으로는 충분히 만들 수 있다.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인데, 이중 "Markup"이라는 단어가 HTML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Makeup languges에는 흔히 XML, GML 등이 있는데, 이 모든 Markup 언어들은, 인쇄 전 에디터들이 교정을 보던 것에서 유래한것으로 이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 + 개발자로서 가..
키워드 : Code Editer, Atom 10분 요약 : 이제 HTML 학습에 들어가기 전, 개발환경을 구축한다. 현 강의에서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은 2가지이다. 1. 크롬 브라우저 2. Atom( Code Editer) Atom은 코드 에디터로, VS Code나 심지어 메모장으로도 대체 가능하다. Atom의 큰 장점은 Package 이다. 다른 사용자들이 미리 만들어 공유해둔 설정을 다운받아 쉽게 개발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키워드 : 브라우저, 웹페이지 구성 요소, HTML, CSS, JavaScript 10분 정리 : 클라이언트가 웹페이지에 접근하려면 브라우저가 필요하다. 브라우저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주소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찾고, 이 주소를 가진 서버에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는다". 브라우저의 예로는 크롬, 사파리, 파이어 폭스 등등이 있다. 이때 브라우저가 서버로 부터 받는 웹페이지 데이터 파일은 일반적으로 3종류 파일로 구성되어있다. HTML, CSS, JS 이다. HTML은 웹페이지의 "구조"를 결정한다. structure를 담당한다. CSS는 웹페이지가 "어떻게 보일지"를 결정한다. styling을 담당한다. JS(JavaScript)는 웹페이지가 실제로 "동작"하게 한다. to ac..
키워드 : 인터넷, 서버, 클라이언트,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DNS 서버(도메인IP/거대한 전화번호 부), 인터넷 백본 10분 정리 : 인터넷은 "거대한 전선(a giant wire)"이다. 이 전선으로 연결된 컴퓨터들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전선(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 중 특별한 역할을 하는 컴퓨터를 "Server"라고 부르는데, 이 컴퓨터는 다른 컴퓨터들이 요구하는 데이터를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개인들이 쓰는 컴퓨터들은 데이터를 요구, 요청하는 "Client"이다. Client(클라이언트)가 웹브라우저에 구글 도메인을 칠 경우(www.google.com),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해당 도메인에 대응하는 IP주소를 DNS서버에 요청하고, DNS 서버가 ..